반응형

미디어텍의 고성능 프로세스 브랜드인 디멘시티(Dimensity)에 하나의 제품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이름은 디멘시티 800U이며 이름에서 확인되지만 디멘시티 800의 파생형 칩셋입니다.

 

디멘시티 800U는 좀 더 안정적인 5G 네트워크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그래서 대체로 5G에 관련된 기술이 많이 들어갔습니다.

 

7nm 공정으로 제조된 디멘시티 800U는 멀티코어 고성능과 5G + 5G DSDS 기술을 위해 설계됐습니다.

 

또한 VoNR(Voice over New Radio), 5G 듀얼 주파수 결합(2CC 5G-CA)와 같은 기술을 통해 더 높은 평균속도를 지원합니다. 5G 울트라세이브 기술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모뎀의 구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배터리 수명도 늘릴 수 있습니다. 5G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던데 이러한 점에서는 강점으로 보여집니다.

 

통합 칩셋에는 ARM Cortex-A76 2코어, Cortex-A55 6코어로 빅리틀구조의 8코어 CPU가 탑재되어 있으며 그래픽코어는 또 ARM Mali가 탑재되어있어서 그래픽 성능은 크게 기대를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그 외 부가기능으로 120Hz FHD+ 디스플레이 지원, HDR10+ 지원, 최대 6400만화소 까지 카메라를 지원하고 최대 쿼드카메라 지원을 합니다. 거기에 ISP 향상 등으로 카메라 관련 기술도 조금 강화가 됐는데요. 스펙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건 중급기 스마트폰을 위한 칩셋입니다.

애초에 최대 6400만화소 밖에 지원을 안한다는 점에서 플래그쉽 스마트폰과는 거리가 좀 먼 편이기도 합니다.

 

미디어텍은 디멘시티 800U가 디멘시티 700 시리즈에 비해 CPU는 11% 향상, GPU는 28% 향상했다고 하는데요. 디멘시티의 700 시리즈 해봤자 디멘시티 720이니 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안투투 기준으로 점수가 대략 34만점 정도 나올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미디어텍 칩셋들의 평가가 하나 같이 실성능에 비해 벤치마크 점수가 너무 잘나온다라서 실성능은 어느정도 될지 가늠은 잘 되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요즘 중급기 스마트폰들이 예전처럼 성능이 그렇게 많이 부족한건 아니고 왠만한 환경에서는 초고스펙 스마트폰 비교해도 딱히 뒤떨어지는건 없다 보니 많이 상향평준화가 되기도 했습니다.

 

미디어텍의 이미지가 상당히 나쁜 한국에서는 미디어텍 디멘시티 800U가 잘 쓰일것 같지는 않고 중국 기업에서 제조한 스마트폰에 좀 쓰일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얼마전 놀라운 소식이 하나 전해졌습니다. 그것은 화웨이가 메이트40을 끝으로 더이상 기린 칩셋을 탑재하지 못한다는 소식인데요.

 

이것에 대한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미국의 무역제재로 인한 효과로 보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사이가 좋지 못하며 서로간에 무역제재를 통한 경제적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여기에 미국이 초강수를 뒀습니다. 반도체 목줄을 죄기 위해 중국 기업의 반도체 칩셋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한것이죠. 그 때문에 화웨이 칩셋을 도맡아 생산했던 TSMC가 미국의 편으로 넘어가면서 화웨이는 더이상 TSMC로 부터 칩셋 생산을 위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TSMC가 마냥 좋아서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은 아닌데요. TSMC 입장에서도 화웨이는 굉장히 큰 고객입니다. 전체 위탁 생산량의 14%를 차지하는 것이 화웨이다 보니 이러한 선택이 상당히 부담스럽긴 했습니다만 결국 미국에 손을 내밀었으며 그에 대한 보답인지는 모르겠으나 미국 기업의 위탁 물량이 더 늘어났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는데요.

 

그 때문인지 TSMC의 주가는 나날이 치솟고 있는걸 보면 일단 TSMC의 선택이 마냥 나쁘다고만 볼 수는 없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화웨이로 돌아와서 화웨이는 ARM 라이센스를 발급받아 자체적으로 칩셋 설계를 하고 있었는데요.

 

삼성에게 엑시노스가 있다면 화웨이에게는 기린이 있습니다. 기린 칩셋도 나름 플래그쉽 성능을 낼 수있는 칩셋부터 보급형 성능까지 다양한 라인의 칩셋이 준비되어 있습니다만 그 생산은 오로지 TSMC가 하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그 길이 완전히 막히게 되어버렸습니다.

 

중국은 아직까지 반도체 생산에서 독립하지 못하고 대만에 꾸준히 의지하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화웨이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중국 공산당도 마찬가지로 불이 떨어졌습니다. 반도체 굴기를 내세워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노리던 중국에게는 이 보다 더 큰 악재는 없을테니까요.

 

 

 중국 반도체 굴기의 희망 SMIC

 

 

중국은 부랴부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그리고 반도체 굴기를 앞당기기 위해 초강수를 둡니다. 28나노 이하의 미세공정 칩셋을 생산할 능력이 있는 기업에게는 10년간 법인세를 면제해준다는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그렇지만 세상만사가 돈으로만 해결 될리가 있겠습니까. 아무리 돈을 퍼붓는다 한들 기술력이 하루아침에 뚝딱 만들어질리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중국에게는 한가지 걸어볼만한 희망이 있습니다. 위의 로고의 주인공인 중국 파운드리 기업 SMIC 입니다.

 

전 세계 파운드리 업계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나름 유의미한 실적을 거두고 있는 기업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TSMC나 삼성에 비해 기술력은 한참 모자란 편인데 이제 14나노 공정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으로 TSMC의 7나노에 비하면 3년 정도 뒤쳐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러한 기술력의 차이는 중국이 자주 써먹던 돈으로 기술자 빼돌리기와 같은 방법을 동원해 메우려고 노력하겠습니다만 기술자 몇몇을 빼온다고 갑자기 7나노를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런 핵심 기술자가 알아서 매수되도록 놔둘 TSMC나 삼성도 아니기 때문에 쉽지만은 않습니다.

 

다행스럽게도 기린의 보급형 칩셋의 경우 14나노 정도로도 충분히 그 성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보급형 스마트폰에는 기린이 여전히 채택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메이트나 P 시리즈와 같은 화웨이의 플래그쉽 스마트폰에는 7나노의 최신 공정이 적용된 칩셋이어야만 경쟁사와 비교해서 성능으로 비등해질 수 있는데 SMIC는 그러한 생산 능력이 전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SMIC에 모든 것을 맡기기에는 SMIC의 역량이 되지 않습니다.

 

 

 

 뜬금없는 구원투수 등장? 퀄컴과 화웨이의 밀회 포착

 

그런데 정말 뜬금없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기업인 퀄컴에서 화웨이의 제재를 풀어달라고 미국 정부에 로비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인데요. 미중 무역제재로 두 나라간의 날이 시퍼렇게 서 있는 상황에서 퀄컴이 화웨이 제재를 완화 해달라는 것은 다소 이례적인 일입니다.

 

 

하지만 퀄컴이 내세우는 주장을 들어보면 어느정도 납득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화웨이 무역제재로 인해 중국 기업이 미국의 기술력을 제공받을 수 없고 또 미국에 제품을 팔 수없는 것도 치명적이지만 마찬가지로 미국 기업 입장에서도 큰 시장인 중국에 무언갈 할 수 없다는 것도 문제입니다.

 

퀄컴은 화웨이에게 칩셋을 판매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자사의 5G 모뎀과 스냅드래곤을 같이 말입니다.

 

생각해보면 화웨이가 여태껏 무역제재를 잘 견뎌 왔는데 한계가 왔다하더라도 너무 공식적으로 칩셋 생산 중단을 외친 것은 다소 의외인 면도 있습니다.

 

이는 기업에게 있어 사형선고나 마찬가지인데 이걸 스스로 전세계에 공표하는 짓이 어딨을까 싶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화웨이가 더 이상 방법이 없어 항복선언을 하고 협상을 하려나 했는데 이렇게 자신만만하게 외치는 것에 대한 뒷배경이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혹시 퀄컴이 화웨이에게 칩셋을 공급해준다는 계약을 체결한 상태라면 화웨이 입장에서는 칩셋 수급에 문제가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를 상대로 거래를 하지 말것을 지시하고 화웨이와 거래한 기업도 같이 고사시켜버린다고 으름장을 놓긴 했으나 그것은 로비에 의해 얼마든지 예외처리가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퀄컴이 필사적으로 로비를 하는 것인데요.

 

퀄컴 입장에서는 중국의 5G 시장이 애꿎은 삼성이나 미디어텍 같은 외국 기업에게 뺏긴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화웨이에 칩셋을 공급함으로써 선점을 하고 싶어하는 것인데요.

실제로 미디어텍은 화웨이에 칩셋을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화웨이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P 시리즈의 후속작인 P50에 자사의 칩셋 1.2억개를 공급하는것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미디어텍의 칩셋 성능도 어느정도 고도화 되었기 때문에 플래그쉽 스마트폰에도 채택이 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국 정부가 아무리 중국에게 제재를 가한다지만 미국 기업의 수입 더 나아가 미국 경제에 굉장히 민감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도 이런 주장을 가볍게 흘려보낼 수 만은 없을 것입니다.

 

화웨이는 거기에 여차하면 스냅드래곤 까지 공급받아 부품 수급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습니다.

 

퀄컴과 화웨이는 얼마전 특허권 분쟁에서 극적으로 합의를 봤으며 화웨이가 퀄컴에게 2조원 가량의 합의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둘 간의 묵은 관계를 완전히 청산했습니다.

 

그렇기에 굳이 화웨이와 척을 질 필요도 없으며 더 나아가 퀄컴은 이미 샤오미와 같은 많은 중국 제조사들에게 자사의 칩셋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의 완전한 폐쇄를 원하고 있지 않은 상황일 것입니다.

 

 


 

화웨이가 칩셋 생산 중단을 선언하면서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이 완전히 끝이 났구나 하고 생각을 했는데 다소 상황이 재밌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미국 정부에서는 퀄컴의 로비에 마냥 긍정적으로 화답할 수는 없겠으나 퀄컴 입장에서도 거대한 중국시장 선점이라는 좋은 명분이 있기 때문에 결과가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LG에서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됐습니다.

 

얼마 전 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위주로 출시됐는데 이제 V60 부터는 국내에 출시가 되지 않습니다.

 

연이은 판매량 참패로 인해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잘 나오는 미국에 집중 한것으로 풀이됩니다.

 

대신 한국에는 Q51이라는 스마트폰이 출시가 됐습니다.

 

일반적으로 LG의 Q 시리즈가 삼성의 A 시리즈와 대응하는데 삼성 A 시리즈가 가성비 적인 면을 많이 강조하는 것 처럼 LG의 Q 시리즈도 가성비 적인 면을 많이 강조하는 편입니다.

 

디자인은 생각보다 꽤 잘 뽑힌 편인데요.

 

베젤이 저렇게 두꺼운것으로 보아 OLED 디스플레이는 아닌 것 같고 LCD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뒷면이 상당히 괜찮게 잘 뽑힌 편인데 사진을 보니 글래스 소재로 마감을 한것 같습니다.

 

보통 저렇게 글래스 소재로 마무리 하면 상당히 디자인이 깨끗하게 뽑히는 편인데 그러한 점을 잘 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어느 스마트폰과 비슷하다 라는 의견은 이제 사실 그닥 소용이 없는게 이젠 제조사끼리 서로 디자인을 많이 참고하는 편이라... 그래도 LG는 그 중에서 디자인이 좀 독창적인 편에 속하기는 합니다.

 

LG는 이 스마트폰의 가격을 31만 9천원으로 확정지었습니다.

 

가격만 놓고 보면 상당히 괜찮은편입니다. 공시지원금을 잘 책정한다면 공짜폰으로 구입이 가능할 정도입니다.

 

그런데 좀 이상합니다... LG가 이렇게 저렴한 가격에 출시하면 스펙을 유심히 잘 봐야 하는데 너프가 좀 심한편이기 때문입니다.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디어텍 Helio P22(....), 3GB RAM, 6.5인치 19.5:9 비율의 HD+(.....) 디스플레이, 4000mAh 배터리, 안드로이드 9(?)

 

스펙을 보니 납득이 갑니다. 왜 이 스마트폰이 31만 9천원이라는 가격이 책정됐는지 말입니다.

 

일단 AP가 미디어텍입니다. 미디어텍도 물론 좋은 AP가 있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저성능에 초저가의 AP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냅드래곤이 익숙한데 미디어텍은 그닥 익숙하지 않습니다. 

 

 

미디어텍을 채택한 스마트폰은 대개 10~20만원대의 초저가 스마트폰 입니다.

 

그리고 가장 에러인 부분은 디스플레이 입니다. 6.5인치라는 대화면을 채택했다고 광고를 했습니다만 문제는 해상도입니다.

 

해상도가 무려 1560*720의 HD+급 디스플레이인데 6.5인치나 되는 대화면에 이런 낮은 해상도를 적용하면 사람이 어느순간 픽셀이 보여 도트가 튀고 이 부분이 은근히 거슬리기 시작합니다.

 

애플이 레티나 디스플레이라는 마케팅 용어를 사용하여 아이폰11과 같은 스마트폰에 자꾸 낮은 해상도를 적용하는 것을 합리화 시키고 있는데 그럼에도 6.1인치에 1792*828 해상도입니다. 326ppi 인데 이 정도 되면 픽셀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LG Q51로 영상을 보다보면 본인도 모르게 도트가 튀어 픽셀이 보이는 현상을 보실수 있습니다.

 

그런데 LG가 갑자기 뜬금없이 네이밍을 Q51로 잡았습니다.

 

보통은 LG Q6, Q7, Q9과 같이 네이밍이 천천히 올라가고 있었는데 급격히 숫자를 올려버렸습니다.

 

이것은 아마 삼성이 출시하는 갤럭시 A51에 대응하기 위해서 네이밍을 이렇게 정하지 않았나 생각을 해봅니다만...

 

그런데 A51과 Q51은 체급으로도 별로 맞지가 않습니다.

 

A51은 중급기라고 한다면 Q51은 중급기 중에서도 스펙이 낮은 보급형의 스펙이기 때문입니다.

 

A51은 엑시노스 9611에 램은 4GB부터 제공하며, 6.5인치 FHD+ 디스플레이를 제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도 40만원부터 시작합니다.

 

LG가 A51을 정말 경쟁작으로 잡고 네이밍을 그렇게 정하고 출시했다면 담당 실무진들은 정말 열중쉬어하고 반성해야 합니다만 그건 아닌것 같습니다. 가격대 자체가 틀리거든요.

 

가격대가 비슷한제품은 삼성 갤럭시 A30이 있습니다.

 

갤럭시 A30이 34만 9천원으로 가격대가 비슷한 편인데 해당 제품은 엑시노스 9611과 3GB램 6.4인치 FH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LG Q51은 LG 페이를 탑재하고 있는것이 장점입니다만 삼성도 A30은 삼성페이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면은 동급이라는 것을 보면 사실상 A30에도 스펙이 밀리게 됩니다.

 

그래서 과연 어떤 기종과 스펙이 비슷한가 비교해봤는데 갤럭시 A20이 그나마 스펙이 비슷합니다.

 

물론 A20이 탑재한 엑시노스 7884는 미디어텍 헬리오 P22보다도 벤치마크 상으로 스펙이 더 좋습니다...

 

그렇지만 A20은 삼성페이가 탑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가기능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보면 A20 <= Q51 < A30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비교해본다면 A20은 28만 6천원이고 A30은 34만원 가량이기 때문에 딱 중간 가격에 위치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Q51은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라기 보다 그 가격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는 셈입니다.

 

사실 그렇지만도 않은게 3만원만 더 보태면 FH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A30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6.5인치에 HD급 디스플레이에 불과한 스마트폰을 구매할바에는 차라리 FHD가 낫죠.

 

요즘은 성능도 성능이지만 영상 감상을 워낙에 많이 하기 때문에 그만큼 디스플레이의 품질도 중요합니다. 비록 LG Q51의 디스플레이가 좋을수도 있다 라고 가정할지라도 6.5인치에 HD급 해상도를 채택한것은 심히 에러라 생각합니다.

 

만약 FHD 디스플레이를 채택했다면 이 제품은 충분히 가성비로 고려해볼만한 제품입니다만... HD급 디스플레이인게 상당히 아쉽습니다.

 

끝으로 이글을 마치기전에 참고로 Q51의 게임 성능은 어느정도일까 하고 유튜버 분들의 리뷰를 봤는데 배틀그라운드 최하옵으로 돌아갈 정도입니다.

 

애초에 P22 벤치마크 점수도 8만점 겨우 기록할정도로 상당히 낮은 스펙이다보니... GPU 부분에서 특히 별로 좋지 못한 AP라 그럴것 같았습니다.

 

이것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