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화웨이에서 독자 OS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모바일 OS 뿐만 아니라 윈도우를 대체할만한 PC OS까지 개발한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를 했는데요.


화웨이가 이 같은 행보를 보이는 것은 혹시나 미국에서 개발된 OS를 사용하지 못할수도 있다는 불안감과 이를 대비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중국 기업과 미국 사이의 악연은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어져 왔는데 2012년에 미국 연방정부에서 ZTE와 화웨이에 대한 스파이 혐의로 조사를 시작하면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현재는 미중무역갈등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의 골이 더 깊어져가고 있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기업의 OS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경우 OS 자체를 탑재할 수가 없어져 버리니 화웨이가 이를 대비할 필요성을 느낀듯 합니다.


모바일 OS의 경우 미국 기업인 구글과 애플의 안드로이드/iOS의 점유율을 합치면 99.9%에 달합니다.


사실상 0.1%의 나머지 OS를 제외하면 독점 상태나 다를바가 없는 상황입니다.





PC용 OS의 사정도 이와 다르지 않아서 2018년 기준으로 윈도우즈와 맥의 점유율은 각각 81.9%와 12.5%로 둘이 합쳐 약 94%에 달하는 점유율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윈도우 기반의 PC를 제조하는 화웨이 입장에서는 미중 갈등이 매우 부담스러울수 밖에 없습니다.


화웨이는 '화웨이의 파트너의 운영체제를 지지한다', '안드로이드와 윈도우즈는 언제나 우리들의 첫 고려대상이다' 라고 하지만 이는 립서비스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지 않을수 없는 상황인것은 대부분 다 아는 현실입니다.




OS를 제조하면 항상 문제가 되는것이 생태계입니다.


즉 얼마나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느냐는 OS가 살아남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이겨내지 못한 블랙베리, 심비안, 바다, 윈도우 모바일 등 많은 모바일 OS가 결국 역사속으로 사라지거나 간신히 인공 호흡기만 붙여놓고 있는 실정입니다.




다만 화웨이의 경우 중국 내수 13억이라는 거대 인구와 중국 공산당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 및 비호를 받고 있는 만큼 만약 화웨이가 독자 OS를 제조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다른 OS에 비해 쉽게 문제를 풀어나갈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화웨이는 독자 OS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중국이 외국 수입품 및 기술을 모두 '~굴기' 라는 형태로 국내기술로 대체하고 있는 상황인데 OS도 그것에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것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국내에는 적지 않은 아이폰 유저들이 있습니다. 아이폰 유저들이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이 바로 액정이 깨졌거나 무상보증 기간이 끝났는데 아이폰이 고장나는 경우죠.


이럴 경우 부분수리는 거의 안된다고 봐야 하고 얄짤 없이 리퍼를 받아야 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수십만원은 너끈히 나오죠. 마찬가지로 맥도 그렇습니다.


그런데 애플 기기 유저들이라면 환영할 만한 소식이 나왔습니다. 바로 에플케어 플러스가 국내에 정식으로 출시가 된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경우 여태까지 애플케어 플러스 적용국가가 아니었습니다.


대신 그보다 한단계 아랫급인 애플케어가 존재했었죠. 애플케어도 분명히 좋은 보험입니다.


무상보증 기간을 아이폰/아이패드의 경우 최대 2년, 맥의 경우 최대 3년까지 보증을 연장시켜 주거든요.


그 기간안에 기기의 결함으로 고장이 나면 무료로 수리를 해주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소비자 과실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외국 기업의 경우 소비자 과실까지 보장해주는 자체 보험상품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델의 경우 고객과실 보증서비스가 있어서 농담으로 새제품으로 교체받으려면 시기 맞춰서 노트북을 일부러 박살내면 된다고 하는 말이 있죠.




애플은 애플케어 플러스를 통해서만 소비자 과실을 보상해줍니다.


아이폰 액정 교체의 경우 29달러, 전체 리퍼는 99달러, 아이패드는 49달러만 내면 2회 서비스를 제공해줍니다. 이것이 애플케어와 애플케어 플러스의 차이점이죠.


아이폰 액정 한번 깨져버리면 얼굴이 새파랗게 질렸었는데 아이폰 유저라면 다들 공감할 사항일 것입니다. 아이폰 수리비용이 좀 비싼가요... 


한국은 분명히 애플스토어가 있는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애플이 여태껏 애플케어 플러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어 국내 유저의 경우 불편하게 일본가서 직접 사오거나 했습니다.


그런데 그것마저 12월 5일, 애플에서 각국의 결제는 해당국가 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하다고 못박아 버려 불가능해졌습니다.


그래서 많은 애플 국내유저들이 절망하던 차, 이런 소식이 들리게 되었네요.







일단 애플코리아와 SK 텔레콤이 함께 협력하여 SKT 통신사를 달고 출시된 애플 기기에 한해서 '애플케어 플러스'를 판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마 기존의 스마트폰 보험처럼 아이폰을 구매하고 개통할시에 애플케어 플러스를 같이 구입할거냐고 물어보는 방식으로 애플케어 플러스를 판매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KT와 LGU+도 협상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하니 조만간 다른 통신사에서도 적용이 될거라고 봅니다.




이렇게 되면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통신사를 통해 출시되지 않는 자급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맥의 경우 어떻게 되느냐 인데요.


이런 딜레마가 있는 만큼 애플코리아 자체에서도 애플케어 플러스를 판매할 확률이 높습니다.


결국 현재는 애플케어 플러스를 한국에 정착시키기 위한 과정일 뿐 언젠가는 정착이 완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이 갑자기 뜬금없이 이렇게 애플케어 플러스를 한국에 판매하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폰의 부진한 판매와 연관이 없지는 않습니다.


올해 새로 출시된 아이폰 XS, XS Max, XR은 가격이 많이 올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을지는 몰라도 전체적인 판매량이 상당히 줄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이 될지 모르나 결국 애플의 강점인 충성도 높은 고객이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아이폰 유저의 충성도를 다시 한번 높이고 부진한 아이폰 판매량도 끌어올릴 계획일 것입니다.


거기에 추가로 꾸준히 제기되던 국내유저 차별 문제도 해소시켜 불필요한 잡음도 없앨 수 있는 것은 덤이죠.




결국 결론적으로 보자면 그 콧대 높던 애플도 부진한 실적에는 결국 악재를 해소하기 위해 콧대를 낮추게 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죠.


어쨌든 이번 일은 좋으면 좋았지 나쁠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애플 특유의 고환율 정책이 문제인데요... 199달러 짜리인 애플케어 플러스가 국내에 정착하면 과연 얼마에 팔릴 것이며 아이폰 리퍼 비용 99달러는 한국에 오면 얼마로 매겨질까요?


음... 제 생각에는 249,000원 / 119,000원 으로 예상하는데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이것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재밌게 읽으셨다면 공감(♥) 버튼을 한번만 꾹 눌러주세요.

여러분들의 공감 하나가 블로그 포스팅의 원동력이 됩니다.

로그인 할 필요 없으며 1초면 충분합니다.


댓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망설임 없이 댓글 달아주세요!





+ Recent posts